비상근예비군 제도란?
예비역(장교, 부사관, 병) 중 희망자를 선발하여 평시에 소집 및 훈련시키고, 전시에 동일한 직책으로 동원하여 즉시 임무수행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제도
구분 | 단기 비상근예비군 | 장기 비상근예비군 |
---|---|---|
대상 | 예비역 장교, 부사관, 병 | |
업무 성격 |
|
|
복무기간 |
|
|
보상비/혜택 |
|
|
|
비상근예비군 선발
- 정기 선발 ① 홍보 / 모집 : 육본 ~ 소집부대 (X-1년 8 ~ 9월) ⇒ ② 면접 / 선발 : 장성급 부대 (10월) ⇒ ③ 동원지정 : 소집부대 → 지방병무청(10월한) ⇒ ④ 운영 : 소집부대(여단·대대) (X년, 1 ~ 12월)
- 수시 선발 1) 시기 : X-1년 12월 ~ X년 6월, 공석 직위 보충 선발
- 지원 접수 방법 1) 인터넷 예비군 홈페이지(www.yebigun1.mil.kr) 로그인 후 『비상근예비군 지원접수 』 (홈페이지 우측 하단)에서 지원서 작성
* 면접 : 장기 비상근예비군만 실시
2) 심의 : 모집(해당 월) ⇒ 신원조사(익월 1주차) ⇒ 심의/발표(익월 4주차)
* 정기 선발 미달 부대, 중도 지정해지자 고려 월 단위 시행
2) 지원서 작성 후 신원조사 작성 클릭 후 신원조사 양식 B형 작성 후 제출
* 국방방첩사령부 홈페이지 - 신원조사 - 로그인 - 민간인 사업참여 · 부대출입 - 부대고용 및 영내 복지지설 중 군사보호(통제 · 제한) 및 비상근예비군 선발 대상자 과정 선택 후 제출
'23년 비상근예비군 운용
- 운용부대 : 동원사단, 동원보충대대, 군수ㆍ민사, 지역방위사단 등 61개 부대
- 인원 : 4,012명 * 22년 대비 465명 확대
- 주요 훈련
- 8일 * 휴일
- 월 1~2회 소집훈련, 개인· 직책수행 훈련, 개인·직책수행 훈련, 작계 이해
- 숙지 후 개인 임무수행 절차 숙달 및 평가 (편제장비 조작, 장비·물자 관리, 작계지역 정찰, 행동화 숙달 평가 등)
- 2일 * 평일
- 부대 전술훈련 동참, 부여된 직책에서 부대임무 숙달
- 2일 * 평일
- 동원훈련 전 소집하여 동원훈련 시 병력통제 및 교관임무 숙달
- 직책수행 능력 배양, 작계지역 정찰 및 작계숙지 등
- 2박3일 * 평일
- 증·창설 절차 숙달, 전시임무에 의한 개인 직책수행능력 배양, 전술 및 작계시행 능력 구비
구분 | 훈련내용 |
|
---|---|---|
소집훈련 |
|
|
부대훈련 |
|
|
동원훈련 전 훈련 |
|
|
동원훈련 |
|
|
장기 비상근예비군
- 운용부대 : 60사단(경기도 고양), 72사단(경기도 양주), 군수사 3보급단(인천 부평구)
- 인원 : 80 ~ 100여명
- 운영방안
- '22년 旣 선정한 동원사단 소요 전 직위로 확대(25개 직위 → 37개 직위)
- 군수부대 일부 직위 확대 반영(5개 직위)
- 복무 유형(Ⅰ·Ⅱ)을 구분하고, 기존 단일 기간(180일) 소집에서 40 ~ 180일까지 차등화하여 적용, 지원자가 희망 복무일수를 선택 * 유형 Ⅰ: 중·장기적인 소집이 필요한 직책 / 40, 60, 80, 100일 중 선택
* 유형 Ⅱ: 장기간 소집 및 숙달이 필요한 직책 / 120, 140, 160, 180일 중 선택 - 주요 훈련
- 40~51일
- 동원(쌍룡)훈련(3일), 혹한기 훈련(5일), 재입영훈련(3일), BCTP(5일), 지상협동훈련(5일), 전술훈련(4일), 연합연습(5~10일), 분기단위 전술훈련(2~3일), 단기 비상근예비군 훈련(8일) 등
- 129~140일
- 각종 훈련 준비 및 후속조치, 정신교육, 장비지휘 검열, 동원감사, 직책별 전시계획 발전업무, 기타 부대운영 동참 등
구분 | 계(180일) | 주요내용 |
---|---|---|
주요훈련 |
|
|
일반 복무 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