병사(―)
지층을 의미하며 군조직의 기반으로서 복종심, 단결, 전우애를 바탕으로 한 군인정신을 상징
-
이등병1946년 남조선 국방 경비대 창설시 병 계급은 2등급으로 이등(二等), 일등(一等)개념으로 구분된 것이 현재까지 명칭되어 지고 있습니다.
-
일등병1946년 남조선 국방 경비대 창설시 병 계급은 2등급으로 이등(二等), 일등(一等)개념으로 구분된 것이 현재까지 명칭되어 지고 있습니다.
-
상등병1962년 병계급이 4등급 체제로 바뀌자 병 계급 중 상위 계급이라 하여 상등(上等)병이라 칭하게 되었습니다.
-
병장병들 중에서 우두머리에 속하는 계급으로 우두머리 장(長)을 사용하여 병장이라고 칭하게 되었습니다.
부사관(V)
성장(계층)과 도약을 뜻하며 병의 상위계급으로서 장교와 병간 교량적 역할과 승리, 투지를 표현(원사의 ★은 사병 최고의 경륜을 익힌 완숙된 존재임을 상징)
-
하사 -
중사 -
상사 -
원사
준사관
-
준위
위관
금강석은 지하층에 위치, 장교로서의 초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초급간부로서의 국가 수호의 굳건한 간성임을 상징 (지하의 가장 단단한 광물 상징)
-
소위 -
중위 -
대위
영관
대나무 잎을 아름답게 꽃모양으로 구성한 것으로 사철 항상 푸르름과 굳건한 기상, 절개를 상징(지상의 식물 상징)
-
소령 -
중령 -
대령
장성
"별"은 스스로 빛을 발하는 천체로서 군의 모든 경륜을 익힌 완숙된 존재임을 상징(우주 공간의 천체 상징)
-
준장 -
소장 -
중장 -
대장